티스토리 뷰
옥테인 연소와 CO₂ 질량 계산
옥테인 연소 문제를 풀며 생성된 CO₂ 질량을 구해봅시다. 문제와 풀이를 함께 정리했어요!
문제
171g의 옥테인(C₈H₁₈)이 모두 연소되는 과정에서 3가지 기체(수증기 H₂O, 일산화탄소 CO, 이산화탄소 CO₂)가 생성되었다. 소모된 산소(O₂)와 생성된 H₂O의 질량비가 O₂:H₂O = 64:27일 때, 생성된 CO₂의 질량을 구하는 과정을 연소 반응식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단, H, C, O의 원자량은 각각 1, 12, 16이다.
풀이 과정
옥테인이 불완전 연소해서 CO와 CO₂가 섞여 나왔어요. 단계별로 풀어볼게요.
1. 옥테인 몰수 계산
옥테인(C₈H₁₈) 몰질량 = (8×12) + (18×1) = 96 + 18 = 114g/mol
171g의 몰수 = 171g ÷ 114g/mol = 1.5mol
2. 연소 반응식 세우기
반응식: C₈H₁₈ + xO₂ → aCO + bCO₂ + cH₂O
- C 원소: 8 = a + b
- H 원소: 18 = 2c → c = 9 (H₂O 9mol)
- O 원소: 2x = a + 2b + c
3. 질량비 적용
O₂:H₂O = 64:27
O₂ 몰질량 = 2×16 = 32g/mol, H₂O 몰질량 = (2×1) + 16 = 18g/mol
질량비 = (x×32) : (c×18) = 64 : 27
c = 9이므로: (x×32) : (9×18) = 64 : 27
(x×32) : 162 = 64 : 27 → x×32 = (64/27)×162 = 384 → x = 384 ÷ 32 = 12
O₂는 12mol이에요.
4. 나머지 계수 계산
O 원소: 2x = a + 2b + c → 2×12 = a + 2b + 9 → 24 = a + 2b + 9 → a + 2b = 15
C 원소: a + b = 8
방정식 풀기:
- a + 2b = 15
- a + b = 8
빼기: (a + 2b) - (a + b) = 15 - 8 → b = 7 (CO₂ 7mol)
a + b = 8 → a + 7 = 8 → a = 1 (CO 1mol)
5. 반응식 확인
C₈H₁₈ + 12O₂ → CO + 7CO₂ + 9H₂O
- C: 8 = 1 + 7 (맞음)
- H: 18 = 2×9 (맞음)
- O: 2×12 = 24 = 1 + (2×7) + 9 = 1 + 14 + 9 = 24 (맞음)
6. CO₂ 질량 구하기
옥테인 1.5mol 기준: CO₂는 7×1.5 = 10.5mol
CO₂ 몰질량 = 12 + (2×16) = 44g/mol
CO₂ 질량 = 10.5mol × 44g/mol = 462g
정답
생성된 CO₂ 질량은 462g입니다!
시험 대비 팁
"몰수 → 반응식 → 질량비 → 계수 → 질량" 순으로 풀고, 원소 수 균형 꼭 확인하세요!
종합시험 잘 보세요! 질문 있으면 물어보세요! 🚀
'대기환경특론 종합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헨리 법칙과 가스상 오염물질 제거 (0) | 2025.03.30 |
---|---|
가솔린 기관 vs 디젤 기관 배출 가스 비교 (0) | 2025.03.29 |
중력집진기와 관성력 집진기 비교 (0) | 2025.03.29 |
헵테인 연소와 O₂ 질량 계산 (0) | 2025.03.29 |
Gas Chromatography(GC) 원리와 GC/FID vs GC/MS 비교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