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시 환경연구사 2024년 기출

환경화학 6번

꼬닥이의 블로그 2025. 7. 4. 19:47
적정법과 산화환원 반응 개념 및 문제 분석

적정법과 산화환원 반응 개념 및 문제 분석

적정법 개념

적정법(Titration)은 알려진 농도의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용액 내 특정 물질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화학 분석 기법입니다. 수질 분석, 식품 분석, 약품 제조 등에 사용됩니다.

핵심 구성 요소

  • 당량점: 반응물과 표준용액이 화학양론적으로 완전히 반응한 이론적 지점. 예:
    \[\ce{HCl + NaOH -> NaCl + H2O}\]
  • 종말점: 지시약의 색 변화나 전위차로 적정 종료를 확인하는 실제 지점.
  • 표준용액: 알려진 농도의 용액(예: 0.1 M \( \ce{NaOH} \), 0.02 M \( \ce{KMnO4} \)).
  • 지시약: 당량점 근처에서 색 변화(예: 페놀프탈레인, 전분).

주요 적정법

  • 산-염기 적정: 산과 염기 간 중화 반응. 예:
    \[\ce{H2SO4 + 2NaOH -> Na2SO4 + 2H2O}\]
    응용: 식초의 아세트산 농도 측정.
  • 산화환원 적정: 산화제 또는 환원제를 이용. 예:
    \[\ce{5Fe^{2+} + MnO4^- + 8H^+ -> 5Fe^{3+} + Mn^{2+} + 4H2O}\]
    응용: 수질 내 철 농도 분석.
  • 아이오딘 적정법: \( \ce{I2} \) 또는 \( \ce{I^-} \)를 이용한 산화환원 적정. 예:
    \[\ce{I2 + 2S2O3^{2-} -> 2I^- + S4O6^{2-}}\]
    응용: 비타민 C 농도 측정.
  • 침전 적정: 침전 반응. 예:
    \[\ce{Ag+ + Cl^- -> AgCl (s)}\]
    응용: 해수 내 염소 이온 측정.
  • 착물 적정: 금속 이온과 착화제. 예:
    \[\ce{Ca^{2+} + EDTA^{4-} -> CaEDTA^{2-}}\]
    응용: 수질 경도 측정.

산화환원 반응 개념

산화환원(Redox) 반응은 전자 이동을 수반하는 반응으로, 산화와 환원이 동시에 발생합니다:

  • 산화: 전자 손실(산화수 증가). 예:
    \[\ce{Fe^{2+} -> Fe^{3+} + e^-}\]
  • 환원: 전자 획득(산화수 감소). 예:
    \[\ce{MnO4^- + 8H^+ + 5e^- -> Mn^{2+} + 4H2O}\]
  • 산화제: 전자를 받아 환원됨(예: \( \ce{KMnO4} \), \( \ce{I2} \)).
  • 환원제: 전자를 주어 산화됨(예: \( \ce{Fe^{2+}} \), \( \ce{S2O3^{2-}} \)).

산화환원 적정: 산화제 또는 환원제를 표준용액으로 사용. 아이오딘 적정법은 \( \ce{I2} \) 또는 \( \ce{I^-} \)를 이용한 대표적 예. 예:

\[\ce{2Cu^{2+} + 4I^- -> 2CuI (s) + I2}\] \[\ce{I2 + 2S2O3^{2-} -> 2I^- + S4O6^{2-}}\]

문제

적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이론적으로 적정이 완료되는 시점을 당량점이라고 한다.
  2. 알칼리 표준용액으로 알칼리를 적정하는 방법을 알칼리 적정이라고 한다.
  3. 산화제의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환원성을 지닌 물질을 적정하거나 환원제의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산화성을 지닌 물질을 적정하는 방법은 산화환원적정법이다.
  4. 아이오딘 적정법은 산화환원반응의 일종이다.

해설

각 선택지를 분석하여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을 찾습니다:

  • 1번: 당량점은 반응물과 표준용액이 화학양론적으로 완전히 반응한 지점. 정확.
  • 2번: 알칼리(예: \( \ce{NaOH} \)) 표준용액은 산(예: \( \ce{HCl} \))을 적정하는 데 사용. 알칼리로 알칼리를 적정하는 것은 의미 없으며, "알칼리 적정"은 비표준 용어. 부정확.
  • 3번: 산화환원 적정은 산화제(예: \( \ce{KMnO4} \))로 환원성 물질(예: \( \ce{Fe^{2+}} \))을, 또는 환원제(예: \( \ce{Na2S2O3} \))로 산화성 물질(예: \( \ce{I2} \))을 적정. 정확.
  • 4번: 아이오딘 적정법은 \( \ce{I2} \) 또는 \( \ce{I^-} \)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산화환원 적정. 정확.

정답: 2번 (알칼리 표준용액으로 알칼리를 적정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알칼리 적정"은 표준 용어가 아님).

'서울시 환경연구사 2024년 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화학 5번  (0) 2025.07.04
환경화학 4번  (2) 2025.06.30
환경화학 3번  (0) 2025.06.27
환경화학 2번  (0) 2025.06.27
환경화학 1번  (0) 2025.06.2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