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하폐수 생물학적 처리공정 문제
문제: 하폐수처리를 위한 생물학적 처리공정 중 <보기>의 특성을 가진 공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보기>:
- 폭기조는 긴 직사각형으로 산기식 또는 기계식 폭기에 의해 혼합된다.
- 폭기조 선단에서 반송슬러지와 혼합된 폐수는 폭기조의 길이 방향으로 흐른다.
- 미생물의 감소성장기에서 내생호흡기까지 걸치게 설정되어 있어 침강성이 좋은 슬러지가 형성된다.
- Plug flow형의 폭기조이기 때문에 유입구 부근에 과부하가 걸려 산소 부족 상태가 되기 쉽고, 충격부하에 취약하다.
정답: 1번 (표준활성슬러지법)
선택지 분석:
- 1번: 표준활성슬러지법은 긴 직사각형 폭기조에서 plug flow형으로 운영되며, 반송슬러지와 폐수가 선단에서 혼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흐릅니다. 미생물은 감소성장기~내생호흡기에서 운영되어 침강성이 좋은 슬러지가 형성되며, 유입구 과부하로 산소 부족과 충격부하 취약성이 있습니다. <보기>와 일치합니다. 옳음.
- 2번: 계단식폭기법은 폐수를 여러 구간에 분산 유입시켜 유입구 과부하와 충격부하를 완화합니다. Plug flow와 완전혼합형의 중간 특성을 가지며, <보기>의 유입구 과부하 특성과 맞지 않습니다. 틀림.
- 3번: 장기폭기법은 완전혼합형 폭기조를 사용하며, 긴 체류시간으로 안정적이지만 plug flow형이 아니므로 유입구 과부하나 충격부하 취약성이 약합니다. <보기>와 부합하지 않습니다. 틀림.
- 4번: 산화구법은 순환형 폭기조로 완전혼합형에 가까우며, 긴 직사각형이나 plug flow형이 아닙니다. 유입구 과부하 특성이 없으므로 <보기>와 맞지 않습니다. 틀림.
해설: 표준활성슬러지법은 plug flow형 폭기조를 사용하는 하폐수 생물학적 처리공정으로, <보기>의 특성(긴 직사각형 폭기조, 선단 혼합, 감소성장기~내생호흡기, 유입구 과부하 및 충격부하 취약성)을 모두 충족합니다. 계단식폭기법은 단계적 유입으로 과부하를 줄이고, 장기폭기법과 산화구법은 완전혼합형으로 plug flow 특성이 없습니다.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법」 및 하폐수처리 기준에 따라 1번이 정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