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호수의 부영양화 현상 (종합시험 대비)
부영양화는 호수에 영양물질(질소, 인)이 과다 유입되어 조류가 과다 증식하고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이다. 원인은 농업 유출, 하수 유입 등이다.
1) 호수의 영양 상태를 구분하는 수질인자
- 총인(TP): 조류 번식을 촉진하는 주요 영양물질. 인 농도로 부영양화 평가.
- 총질소(TN): 조류 성장에 필요한 영양물질. 인과 함께 부영양화 결정.
- 클로로필-a(Chl-a): 조류량 지표. 농도 높을수록 조류 많음.
- 용존산소(DO): 산소 농도. 유기물 분해로 산소 고갈 시 부영양화 지표.
- 투명도: 물 맑은 정도. 조류 많으면 탁해짐.
비유:
호수가 밥상, TP/TN은 밥(영양물질), Chl-a는 밥 먹는 사람(조류), DO는 공기, 투명도는 깨끗함.
2) 수질인자에 따른 호수의 영양 상태 구분
⓵ 빈영양호(Oligotrophic)
- 특징: 물 맑고 깨끗, 조류 거의 없음, 생태계 안정.
- 수질인자: TP 10 이하("깨끗한 10"), Chl-a 2 이하("조류 거의 없음 2"), 투명도 매우 맑음, DO 높음(숨 쉬기 편함).
- 예: 백두산 천지.
⓶ 중영양호(Mesotrophic)
- 특징: 물 약간 탁함, 조류 조금 있음, 생태계 균형.
- 수질인자: TP 10~30("적당한 30"), Chl-a 2~8("조류 조금 8"), 투명도 조금 탁함, DO 약간↓(숨 조금 답답).
- 예: 일부 저수지.
⓷ 부영양호(Eutrophic)
- 특징: 물 탁함, 조류 많음(녹조), 수질 악화.
- 수질인자: TP 30~100("문제 시작 100"), Chl-a 8~25("조류 많음 25"), 투명도 탁함, DO 낮음(숨쉬기 어려움).
- 예: 낙동강 하류 호수.
⓸ 극부영양호(Hypereutrophic)
- 특징: 물 매우 탁함, 조류 폭발, 생태계 파괴.
- 수질인자: TP 100 이상("심각한 100+"), Chl-a 25 이상("조류 폭발 25+"), 투명도 매우 탁함, DO 매우 낮음(숨 못 쉼).
- 예: 하수 유입 오염 호수.
비유:
호수가 밥상, 밥(TP)과 사람(Chl-a)이 적음(빈영양) → 조금(중영양) → 많음(부영양) → 넘침(극부영양).
3) 부영양화 현상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 조류 번식 증가: 조류(녹조) 과다 증식, 물이 녹색/갈색. 독소 생성으로 생태계와 인체 해로움.
- 용존산소 감소: 조류 사멸 후 분해로 산소 소모, 저층 무산소. 물고기 폐사.
- 탁도 증가: 조류와 부유물질로 물 탁해짐, 투명도↓. 광합성 저해.
- 수질 악화: 황화수소로 악취, 독소로 식수/레크리에이션 제한.
- 생물 다양성 감소: 특정 조류 과다 번식, 생태계 균형 파괴.
- 환경적/사회적 영향: 식수 비용↑, 관광/어업 손실, 메탄 배출↑.
외우기 팁
- TP 패턴: 10 → 30 → 100 → 100+ (깨끗 → 적당 → 문제 → 심각).
- Chl-a 패턴: 2 → 8 → 25 → 25+ (조류 없음 → 조금 → 많음 → 폭발).
- 투명도/DO: 맑음/높음 → 조금 탁함/약간↓ → 탁함/낮음 → 매우 탁함/무산소.
- 비유: 밥(TP)과 사람(Chl-a)이 늘어나며 밥상(호수)이 더러워짐.
시험 답변 예시
호수의 부영양화는 영양물질 과다로 조류가 증식하며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이다. 1) 영양 상태를 구분하는 수질인자는 총인(TP), 총질소(TN), 클로로필-a(Chl-a), 용존산소(DO), 투명도다. 2) 영양 상태는 빈영양, 중영양, 부영양, 극부영양으로 나뉜다. 빈영양호는 TP 10 이하, Chl-a 2 이하로 물이 맑고 조류가 적다. 중영양호는 TP 10~30, Chl-a 2~8로 조류가 조금 있다. 부영양호는 TP 30~100, Chl-a 8~25로 조류가 많아 물이 탁하다. 극부영양호는 TP 100 이상, Chl-a 25 이상으로 조류가 폭발해 생태계가 파괴된다. 3) 부영양화는 조류 증가, 산소 감소, 탁도 증가, 수질 악화, 생물 다양성 감소, 식수와 관광에 악영향을 미친다.
'환경오염물질 이동 메카니즘 종합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오염 확산 모델 (0) | 2025.03.26 |
---|---|
오염물질의 이동 메카니즘 (0) | 2025.03.26 |
QUAL2E 모델 (하천 수질 예측) (0) | 2025.03.26 |
완전혼합 흐름 반응식 (하천 자정작용) (0) | 2025.03.25 |
하천 수계 용존산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