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존 접촉지에 대한 설명
문제: 오존 접촉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 ㄱ. 접촉지에는 우회관을 설치한다.
- ㄴ. 구조는 개방형으로 하여 오존과 물의 혼화와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서 흡수율이 높도록 한다.
- ㄷ. 효율적인 오존공정 제어를 위하여 처리수량, 오존 주입량, 잔류오존, 대기오존농도를 상시 계측해야 한다.
정답: ㄱ, ㄴ, ㄷ
설명:
- ㄱ. 접촉지에는 우회관을 설치한다.
오존 접촉지에는 오존과 물의 효과적인 혼합 및 접촉을 위해 우회관(바플 또는 디퓨저 등)을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하고 접촉 효율을 높입니다. 이는 옳은 설명입니다. - ㄴ. 구조는 개방형으로 하여 오존과 물의 혼화와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서 흡수율이 높도록 한다.
오존 접촉지는 일반적으로 개방형 구조(또는 부분 개방형)를 채택하여 오존 가스와 물이 충분히 혼합되도록 설계됩니다. 이는 오존의 흡수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므로 옳은 설명입니다. - ㄷ. 효율적인 오존공정 제어를 위하여 처리수량, 오존 주입량, 잔류오존, 대기오존농도를 상시 계측해야 한다.
오존 공정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위해 처리수량, 오존 주입량, 잔류오존 농도, 대기오존 농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공정 제어와 환경 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모든 선택지(ㄱ, ㄴ, ㄷ)가 올바릅니다.
추가 질문: 우회관이란 무엇인가?
“우회관을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하고 접촉 효율을 높인다”라는 설명이 이해가 안 간다. 우회관이 뭐야?
답변: 우회관의 정의와 역할
우회관은 오존 접촉지에서 물과 오존 가스의 접촉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 주로 바플(baffle) 또는 격벽 형태를 말합니다. 이를 통해 물의 흐름을 제어하고, 오존이 물에 잘 혼합되도록 돕습니다.
우회관의 역할과 작동 원리:
- 흐름 제어
우회관은 접촉지 내부에서 물이 직선으로 빠르게 흐르지 않고, 지그재그 또는 와류를 형성하며 천천히 이동하도록 만듭니다. 이로 인해 물이 오존과 더 오래 접촉하게 됩니다. - 혼합 촉진
오존 가스는 물에 녹아들어야 효과적으로 소독이나 산화 작용을 합니다. 우회관은 물의 흐름을 교란시켜 오존 가스가 물 속으로 더 잘 확산되도록 돕습니다. - 접촉 효율 향상
단순히 물이 빠르게 지나가면 오존이 충분히 녹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우회관은 접촉 시간을 늘리고, 오존과 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흡수율을 높입니다.
예시:
- 오존 접촉지가 긴 수로 형태라면, 우회관은 수로 안에 설치된 판(바플)으로, 물이 좌우로 굽이치며 흐르게 합니다.
- 또는 디퓨저(diffuser)와 함께 사용되어 오존 가스를 미세한 기포로 분사하면서 물과 혼합되도록 돕습니다.
왜 이해가 어려웠을까?
“우회관”이라는 용어가 다소 전문적이거나, 일상에서 자주 쓰이지 않아 낯설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쉽게 말해, 우회관은 물과 오존이 더 잘 섞이도록 흐름을 조절하는 장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커피에 설탕을 넣고 젓는 스푼처럼, 물과 오존을 “골고루 섞이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정수시설운영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1차 35회 12번 (1) | 2025.04.25 |
---|---|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1차 35회 11번 (0) | 2025.04.25 |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35회 1차 9번 (0) | 2025.04.25 |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35회 1차 8번 (0) | 2025.04.25 |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1차 35회 7번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