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이옥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문제
다음 중 다이옥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 다이옥신은 고온 안정성, 낮은 증기압, 낮은 수용성을 가진다.
- 다이옥신의 이성질체는 이론적으로 210개 정도 존재한다.
- 시간당 처리능력이 2톤 이상인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배기가스 중 다이옥신의 배출허용기준은 0.1ng-TEQ/sm³이다.
- 시간당 처리능력이 2톤 이상인 소각시설의 배기가스 중 다이옥신은 3개월마다 1회 이상 측정해야 한다.
정답
4번
해설
4번 선택지("시간당 처리능력이 2톤 이상인 소각시설의 배기가스 중 다이옥신은 3개월마다 1회 이상 측정해야 한다")는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이유: 「대기환경보전법」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에 따르면, 시간당 처리능력이 2톤 이상인 소각시설의 다이옥신 측정 주기는 6개월마다 1회 이상입니다. 하지만 4번은 이를 3개월마다로 잘못 기술했습니다.
- 다른 선택지:
- 1번: 다이옥신의 화학적 특성(고온 안정성, 낮은 증기압, 낮은 수용성)은 정확합니다.
- 2번: 다이옥신 이성질체는 PCDD 75개, PCDF 135개로 총 210개로, "210개 정도"는 적절한 표현입니다.
- 3번: 2톤 이상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다이옥신 배출허용기준은 0.1ng-TEQ/sm³으로 정확합니다.
다이옥신 측정 주기 (대기환경보전법 기준)
소각시설 처리능력 | 측정 주기 |
---|---|
2톤 이상 | 6개월마다 1회 이상 |
200kg 이상 ~ 2톤 미만 | 12개월마다 1회 이상 |
25kg 이상 ~ 200kg 미만 | 24개월마다 1회 이상 |
참고: 다이옥신 측정 기준은 「대기환경보전법」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에 따라 설정되며, 세부 사항은 환경부 생활폐기물과에 문의하세요.
'서울시 환경공학 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서울시 연구사 환경공학 11번 (0) | 2025.05.03 |
---|---|
서울시 연구사 2024년 환경공학 10번 (1) | 2025.05.03 |
2024년 서울시 환경공학 8번 (0) | 2025.05.02 |
2024 서울시 환경공학 7번 (0) | 2025.05.02 |
알칼리도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