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토양 측정 분석기기 정도보증/정도관리 문제
문제: 토양 측정 분석기기의 정도보증/정도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정답: 4번 (정확도는 인증시료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표준절차서에 따라 인증표준물질을 분석한 결과값과 인증값과의 상대백분율로 구한다)
선택지 분석:
- 1번: 감응계수는 검정곡선 작성 시 표준용액의 농도와 반응값의 비율로 계산되며, 이는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 부합합니다. 옳음.
- 2번: 정량한계는 반복 측정 결과의 표준편차에 10배를 곱하여 계산(LOQ = 10 × σ)하며, 이는 표준 방법입니다. 옳음.
- 3번: 정밀도는 반복 측정 결과의 표준편차(σ) 또는 상대표준편차(RSD)로 정의되며, 평균값은 표준편차 계산 시 참조되므로 기술적으로 적합합니다. 옳음.
- 4번: 정확도는 인증표준물질(CRM)을 분석하여 상대백분율 오차로 계산되지만, "인증시료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는 조건은 불필요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킵니다. CRM을 사용한 평가가 표준 절차이며, 인증시료 부재는 평가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틀림.
해설: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정도보증/정도관리는 감응계수, 정량한계, 정밀도, 정확도를 평가합니다. 1번은 감응계수의 정의, 2번은 정량한계의 계산 방법, 3번은 정밀도의 평가 방식을 정확히 반영합니다. 그러나 4번은 정확도 평가에서 "인증시료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는 조건이 불필요하고, 인증표준물질(CRM)을 사용한 정확도 평가가 기본 절차라는 점에서 기준에 맞지 않습니다. 정확도는 CRM의 분석 결과와 인증값의 상대백분율 오차로 계산되며, 인증시료의 부재는 평가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