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시 환경연구사 2022년 기출

환경공학 5번

꼬닥이의 블로그 2025. 6. 18. 18:29
토양 측정 분석기기 정도보증/정도관리 문제

토양 측정 분석기기 정도보증/정도관리 문제

문제: 토양 측정 분석기기의 정도보증/정도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감응계수는 검정곡선 작성용 표준용액의 농도에 대한 반응값으로 구한다.

2. 정량한계는 제시된 정량한계 부근의 농도를 포함하도록 시료를 준비하고 이를 반복 측정하여 얻은 결과의 표준편차에 10배한 값을 사용한다.

3. 정밀도는 연속적으로 n회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구한다.

4. 정확도는 인증시료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표준절차서에 따라 인증표준물질을 분석한 결과값과 인증값과의 상대백분율로 구한다.

정답: 4번 (정확도는 인증시료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표준절차서에 따라 인증표준물질을 분석한 결과값과 인증값과의 상대백분율로 구한다)

선택지 분석:

  • 1번: 감응계수는 검정곡선 작성 시 표준용액의 농도와 반응값의 비율로 계산되며, 이는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 부합합니다. 옳음.
  • 2번: 정량한계는 반복 측정 결과의 표준편차에 10배를 곱하여 계산(LOQ = 10 × σ)하며, 이는 표준 방법입니다. 옳음.
  • 3번: 정밀도는 반복 측정 결과의 표준편차(σ) 또는 상대표준편차(RSD)로 정의되며, 평균값은 표준편차 계산 시 참조되므로 기술적으로 적합합니다. 옳음.
  • 4번: 정확도는 인증표준물질(CRM)을 분석하여 상대백분율 오차로 계산되지만, "인증시료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는 조건은 불필요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킵니다. CRM을 사용한 평가가 표준 절차이며, 인증시료 부재는 평가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틀림.

해설: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정도보증/정도관리는 감응계수, 정량한계, 정밀도, 정확도를 평가합니다. 1번은 감응계수의 정의, 2번은 정량한계의 계산 방법, 3번은 정밀도의 평가 방식을 정확히 반영합니다. 그러나 4번은 정확도 평가에서 "인증시료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는 조건이 불필요하고, 인증표준물질(CRM)을 사용한 정확도 평가가 기본 절차라는 점에서 기준에 맞지 않습니다. 정확도는 CRM의 분석 결과와 인증값의 상대백분율 오차로 계산되며, 인증시료의 부재는 평가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서울시 환경연구사 2022년 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공학 7번  (0) 2025.06.18
환경공학 6번  (0) 2025.06.18
환경공학 4번  (0) 2025.06.07
환경공학 3번  (4) 2025.06.07
환경공학 2번  (0) 2025.06.0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