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급속여과지 역세척의 원리와 오해
문제
질문: 급속여과지의 역세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수온차가 큰 지역에서는 수온이 높을 때의 역세척 유속을 기준으로 시설을 설계한다.
- 역세척에는 염소가 잔류하고 있는 정수를 사용한다.
- 유속과 팽창률의 관계는 여재의 종류와 수온에 따라 차이가 있다.
- 표면세척장치는 팽창된 여과층 중에 노즐이 묻히지 않도록 조심한다.
해설
급속여과지의 역세척은 여과층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여과 성능을 회복시키는 과정입니다. 각 선택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선택지 분석
- 1. 수온과 역세척 유속: 수온이 높을 때 점도가 낮아 여과층이 더 팽창하므로, 높은 수온의 유속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이 맞으므로 옳습니다.
- 2. 잔류염소 정수 사용: 역세척에 잔류염소가 있는 정수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오염을 억제하므로 옳습니다.
- 3. 유속과 팽창률: 유속과 팽창률은 여재의 종류와 수온에 따라 달라지므로 옳습니다.
- 4. 표면세척장치 노즐: 표면세척장치의 노즐은 설계상 여과층 위에 위치하여 묻힐 가능성이 없으므로 "조심한다"는 표현은 부정확하여 옳지 않습니다.
정답
정답: 4. 표면세척장치는 팽창된 여과층 중에 노즐이 묻히지 않도록 조심한다.
표면세척장치의 노즐은 설계상 여과층에 묻히지 않도록 위치하므로, 이 설명은 부정확합니다.
키워드: 급속여과지, 역세척, 표면세척장치, 여재, 수온, 팽창률
이 포스트는 급속여과지의 역세척 원리와 표면세척장치의 설계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정수시설운영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1차 35회 7번 (0) | 2025.04.23 |
---|---|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35회 1차 6번 (0) | 2025.04.23 |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1차 4번 (0) | 2025.04.22 |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1차 3번 (0) | 2025.04.22 |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35회 1차 2번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