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급속여과지 역세척의 원리와 오해

문제

질문: 급속여과지의 역세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온차가 큰 지역에서는 수온이 높을 때의 역세척 유속을 기준으로 시설을 설계한다.
  2. 역세척에는 염소가 잔류하고 있는 정수를 사용한다.
  3. 유속과 팽창률의 관계는 여재의 종류와 수온에 따라 차이가 있다.
  4. 표면세척장치는 팽창된 여과층 중에 노즐이 묻히지 않도록 조심한다.

해설

급속여과지의 역세척은 여과층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여과 성능을 회복시키는 과정입니다. 각 선택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선택지 분석

  • 1. 수온과 역세척 유속: 수온이 높을 때 점도가 낮아 여과층이 더 팽창하므로, 높은 수온의 유속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이 맞으므로 옳습니다.
  • 2. 잔류염소 정수 사용: 역세척에 잔류염소가 있는 정수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오염을 억제하므로 옳습니다.
  • 3. 유속과 팽창률: 유속과 팽창률은 여재의 종류와 수온에 따라 달라지므로 옳습니다.
  • 4. 표면세척장치 노즐: 표면세척장치의 노즐은 설계상 여과층 위에 위치하여 묻힐 가능성이 없으므로 "조심한다"는 표현은 부정확하여 옳지 않습니다.

정답

정답: 4. 표면세척장치는 팽창된 여과층 중에 노즐이 묻히지 않도록 조심한다.

표면세척장치의 노즐은 설계상 여과층에 묻히지 않도록 위치하므로, 이 설명은 부정확합니다.

키워드: 급속여과지, 역세척, 표면세척장치, 여재, 수온, 팽창률

이 포스트는 급속여과지의 역세척 원리와 표면세척장치의 설계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