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퀴즈: ICP-AES
문제: 다음 중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상 금속류 분석에 사용되는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ICP-A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시료를 아르곤 플라스마에 주입하여 고온에서 원자가 방출하는 발광선 및 발광광도를 측정한다.
- 점성이 있거나 입자상 물질이 존재하는 시료는 동심축 분무기를 사용한다.
- 알칼리 금속이 시료에 공존할 시 방출선의 세기를 크게 할 수 있다.
- 라디오고주파 발생기 주파수는 27.12MHz 또는 40.68MHz를 사용한다.
1. 시료를 아르곤 플라스마에 주입하여 고온에서 원자가 방출하는 발광선 및 발광광도를 측정한다.
이는 정확한 설명입니다. ICP-AES는 아르곤 플라스마를 사용하여 시료를 고온(약 6,000~10,000K)에서 여기시켜 원자가 특정 파장의 빛(발광선)을 방출하도록 하고, 이를 측정하여 금속 원소를 분석합니다.
2. 점성이 있거나 입자상 물질이 존재하는 시료는 동심축 분무기를 사용한다.
이 설명은 부정확합니다. 점성이 높거나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시료의 경우, 동심축 분무기(Concentric Nebulizer)는 막힘의 위험이 있어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런 시료에는 일반적으로 교차류 분무기(Cross-flow Nebulizer) 또는 바빈턴 분무기(Babington Nebulizer)와 같은 특수 분무기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선택지가 옳지 않습니다.
3. 알칼리 금속이 시료에 공존할 시 방출선의 세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는 정확합니다. 알칼리 금속(예: Na, K)은 이온화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정 조건에서 발광선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효과(예: 이온화 억제 또는 증강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라디오고주파 발생기 주파수는 27.12MHz 또는 40.68MHz를 사용한다.
이 역시 정확합니다. ICP-AES에서 사용되는 라디오고주파(RF) 발생기는 일반적으로 27.12MHz 또는 40.68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플라스마를 생성합니다.
결론: 2번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점성이 있거나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시료에는 동심축 분무기 대신 특수 분무기(예: 교차류 또는 바빈턴 분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